본문 바로가기

심리정리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어렵지 않아요!

728x90

 

정신분석은 왜 생겼고, 어떤 개념들이 있는지, 상담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어떤 기법을 쓰는지 쉽게 알아보자!


1. 정신분석이란?

정신분석은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라는 심리학자가 만든 이론이에요.
"사람은 무의식 속에 숨겨진 감정 때문에 힘들어질 수 있다"라고 봤어요.
이 무의식을 꺼내어 다루는 것이 정신분석 상담의 핵심이에요!

 

정신분석이 뭔지 아주 간단하게 살펴봤어요. 그렇다면 이 이론 속에는 어떤 개념들이 있을까요? 지금부터 하나씩 쉽게 풀어볼게요!


2. 정신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들 🧠

1) 성격은 이렇게 나뉘어요!

프로이트는 성격을 3가지로 나눴어요:

🟥 원초아 (Id)

  • 쾌락 원리에 따라 움직여요.
  • “하고 싶으면 해야 해!”
  • 본능적인 욕구 (배고픔, 성욕 등)
  • 무의식 속에 있어요.

🟧 자아 (Ego)

  • 현실 원리에 따라 행동해요.
  • “하고 싶어도, 지금은 참자.”
  • 현실과 원초아를 중간에서 조절해요.
  • 의식, 전의식, 무의식에 모두 있어요.

🟩 초자아 (Superego)

  • 도덕 원리에 따라 행동해요.
  • “이건 하면 안 돼. 나쁜 짓이야.”
  • 부모님이나 사회에서 배운 규범이 여기 들어 있어요.
  • 역시 의식, 전의식, 무의식에 존재해요.

2) 불안은 어디서 오는 걸까? 😰

원초아, 자아, 초자아 이 셋이 싸울 때 생기는 게 불안이에요.
불안에는 3가지 종류가 있어요:

  • 현실적 불안: 진짜 위험이 있을 때. (예: 강아지가 나를 쫓아옴 → 무서워!)
  • ⚠️ 신경증적 불안: 원초아의 충동이 너무 강해질 때. (예: 막 화내고 싶어 짐)
  • 🚫 도덕적 불안: 양심에 찔릴 때. (예: 친구 물건 훔치고 마음이 불편함)

3) 방어기제란?

우리 자아가 불안에 대처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에요.
예를 들어, 시험을 망쳤는데 “교과서가 잘못됐어!”라고 말하는 것, 이건 ‘합리화’라는 방어기제예요.

 

방어기제의 특징 2가지

  1. 현실을 왜곡하거나 부정해요.
  2. 무의식적으로 작동해요.

방어기제 종류 예시

  • 억압: 기억하고 싶지 않은 걸 무의식에 눌러 담기
  • 투사: 내 감정을 남 탓으로 돌리기
  • 부인: 현실을 인정하지 않기
  • 승화: 공격성 같은 욕구를 좋은 방향으로 바꾸기 (운동, 예술 등)

 

이제 정신분석의 핵심 개념들을 알게 됐어요.

그럼 이런 개념들이 실제 상담에서는 어떤 목표를 가지고 쓰이는지, 다음에서 자세히 알아볼게요!


3. 정신분석의 상담 목표는?

정신분석 상담의 목표는 딱 하나예요

👉 무의식 속에 숨어 있는 억압된 감정을 꺼내어 자각하게 하는 것!

목표를 더 쉽게 정리하면:

  1. 신경증적인 고통을 줄이고, 현실적인 고통을 다룰 수 있게 돼요.
  2. 자아가 원초아의 충동을 잘 이해하고 조절해요.
  3.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어요 → 사랑하고, 일할 수 있는 능력 회복!

 

상담이 어떤 목적을 갖고 있는지 이해했죠?

그럼 이제, 실제 상담에서는 어떤 순서로 진행되는지 알아봐야겠죠?

다음으로는 상담의 전체 흐름, 즉 상담 과정을 함께 살펴볼게요.


4. 상담은 어떻게 진행될까?

정신분석 상담은 보통 아래의 3단계로 진행돼요.

1) 치료동맹 만들기

  • 내담자가 분석을 받을 준비가 되었는지 평가해요.
  • 공감하며, 비판 없이 들어주는 관계를 만들어요.
  • 상담자도 자신의 감정(역전이)을 잘 살펴야 해요.
  • 상담 규칙과 기본 틀을 알려줘요.

2) 훈습 (Working Through)

  • 내담자가 저항할 때, 반복적으로 다루고 해석해 줘요.
  • 전이(상담자를 부모처럼 보는 현상)를 분석하면서 감정 패턴을 이해하게 도와줘요.

3) 종결

  • 전이에 대한 이해가 생기고, 주요 문제가 해결되면 상담을 마무리해요.

 

상담이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는지 감이 오셨나요?
그렇다면 이제 마지막으로, 상담자가 실제로 사용하는 구체적인 상담 기법들을 알아볼 차례예요.

어떤 방법으로 무의식을 꺼내고, 내담자를 도울 수 있을까요?


5. 정신분석에서 사용하는 상담 기법들 🎯

✅ 자유연상 (Free Association)

  • 머릿속에 떠오르는 생각을 아무 검열 없이 말하게 해요.
  • 바보 같고 이상해도 괜찮아요!
  • 무의식에 있는 억압된 내용을 찾기 위한 방법이에요.

✅ 꿈 분석

  • 프로이트는 “꿈은 무의식으로 가는 왕도”라고 말했어요.
  • 꿈속에 숨겨진 감정을 해석하면, 무의식이 드러나요.

✅ 정화 (Catharsis)

  • 힘든 감정을 표현하고 풀어내는 과정이에요.
  • 억눌린 감정을 눈물, 말, 기억 등을 통해 방출해요.

✅ 저항

  • 상담을 받다가 무의식이 드러날 때 불안해지면 저항이 생겨요.
  • 예: 상담 약속을 자꾸 빼먹기, 중요한 얘기에서 딴청 피우기
  • 이유는?
    ① 변화가 무서워서
    ② 무의식적 욕구를 유지하고 싶어서
    ③ 과거 기억을 마주하기가 무서워서

✅ 전이와 역전이

  • 전이: 내담자가 상담자에게 부모와 같은 감정을 쏟는 현상
  • 역전이: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감정적으로 반응하는 것
  • 이 감정을 잘 살피면, 상담이 더 깊어져요.

✅ 해석

  • 자유연상, 꿈, 전이 등에서 나오는 내용을 해석해요.
  • 내담자가 무의식 속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통찰을 갖도록 도와줘요.
  • 단, 해석 타이밍이 중요해요! 너무 빨리 해석하면 저항이 더 강해질 수 있어요.

 

이렇게 다양한 기법을 통해, 내담자는 자기 마음속 깊은 곳을 마주하게 돼요.
정신분석은 단순히 이야기만 나누는 것이 아니라, 무의식과 싸우는 아주 섬세한 작업이라는 걸 알 수 있죠.


마무리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은 복잡해 보이지만, 핵심은 무의식 속에 숨겨진 감정을 꺼내어 자각하게 해주는 것이에요.
불안, 방어기제, 전이 같은 개념을 이해하면, 사람의 마음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어요.
누구나 마음속에 숨겨진 이야기가 있어요. 정신분석은 그 이야기를 발견하는 여정이에요. 😊

 

#정신분석 #프로이트 #무의식 #심리상담 #상담이론 #심리학공부 #고등학생심리 #마음공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