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정리

전 생애 발달, 처음부터 끝까지 우리가 변하는 이야기

728x90

 

안녕하세요!

여러분은 "발달"이라고 하면 어떤 게 떠오르나요?
키가 크는 것? 공부를 잘하게 되는 것? 성격이 바뀌는 것?

사실 이 모든 게 다 맞아요!
사람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아니 태어나기도 전부터 계속해서 변화해요.
이런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이 바로 발달심리학이에요.


1️⃣ 발달이란 무엇일까요?

발달은 아주 간단히 말해서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사람이 겪는 모든 변화"를 말해요.

이 변화는 크기나 양의 변화(양적 변화) 일 수도 있고,
성격이나 생각 방식처럼 본질적인 변화(질적 변화) 일 수도 있어요.

✔️ 예를 들어 볼까요?

  • 양적 변화: 키가 150cm에서 170cm로 크는 것, 몸무게가 느는 것
  • 질적 변화: 친구와 다투고 나서 감정을 조절하는 법을 배운 것, 시험에서 실패한 뒤 공부법을 바꾼 것

2️⃣ 발달심리학이란?

이렇게 사람의 발달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바로 발달심리학이에요.

이 학문은 그냥 책에만 있는 게 아니라 육아, 교육, 심리검사, 정책 등 우리 생활 곳곳에 쓰이고 있어요.

✔️ 예를 들어 볼까요?

  • 아기가 울 때 안아주는 게 왜 중요한지(애착 이론)
  • 학생들의 발달단계를 고려해서 교과서를 만들기
  • 청소년의 발달 특징을 고려한 상담 프로그램 만들기

3️⃣ 발달심리학의 목표 4가지

발달심리학은 단순히 "사람이 어떻게 변하는가?"만 보는 게 아니에요.
4가지 중요한 목표를 가지고 있어요!

목표설명
기술 지금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관찰하고 설명
설명 그 변화의 원인을 찾음
예측 다음에는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 예측
개입 더 나은 발달을 위해 돕는 방법 찾기

4️⃣ 발달의 3대 영역

사람의 발달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

  • 신체 발달: 키, 체중, 뇌, 근육 등 몸과 관련된 변화
  • 인지 발달: 기억력, 판단력, 언어, 학습 등 생각하는 능력의 변화
  • 심리사회적 발달: 감정, 성격, 대인관계 등 사회 속에서의 변화

2️⃣ 전 생애 발달이란?

그렇다면, "전 생애 발달"은 뭐가 다를까요?

과거에는 보통 아기 때나 청소년기처럼 성장하는 시기만 중요하다고 봤어요.
하지만 현대 심리학은 말해요.

"사람은 죽을 때까지 계속 발달한다!"

이걸 말해준 대표 학자가 바로 발테스(Baltes)인데요,
그는 전 생애 발달의 4가지 원리를 제시했어요.


💡 1) 다중방향성 (Multidirectionality)

사람의 발달은 한 방향으로만 진행되지 않아요.
나이가 들면 어떤 건 늘고, 어떤 건 줄어요.

  • 예:
    청소년기에는 기억력, 판단력이 빠르게 좋아지고
    성인이 되면 안정되다가
    노년기에는 느려질 수 있어요.
    하지만 감정 조절 능력은 오히려 더 좋아지기도 해요.

📌 같은 나이라도 누구는 운동을 잘하고, 누구는 말솜씨가 좋아요.
→ 발달에는 개인차가 있어요.


💡 2) 가소성 (Plasticity)

발달은 바뀔 수 있어요!
환경이 안 좋았던 아이도, 좋은 환경을 만나면 충분히 회복할 수 있어요.

  • 아이가 어릴 때 학습에 어려움을 겪었다 해도
    → 나중에 적절한 교육과 연습을 통해 변화 가능
  • 노년기에도 새로운 취미나 학습을 통해
    → 인지 기능 유지 가능

📌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진짜 시작이다!”
→ 발달은 연습과 노력으로 언제든지 달라질 수 있어요.


💡 3) 역사적 · 사회적 맥락 (Historical & Social Context)

우리는 시대와 사회 속에서 발달해요.
어떤 시기에 태어났는지가 생각보다 큰 영향을 줘요.

  • 같은 나이라도 다른 시대에 태어났다면 전혀 다른 경험을 하게 돼요.

예를 들어 볼까요?

  • 2000년생 고등학생 vs 1980년생 고등학생
    → 사용하는 기술, 사회 분위기, 가치관 다름

비규범적 영향도 있어요.
= 아주 특별하거나 예상치 못한 일들

  • 예: 사고, 조실 부모, 복권 당첨 등
    → 삶의 흐름을 크게 바꾸기도 해요.

💡 4) 다학문적 접근 (Multidisciplinary)

사람의 발달을 이해하려면
심리학, 교육학, 사회학, 의학 등 여러 분야의 협력이 필요해요.

📌 예를 들어
아동의 언어 발달을 보려면?

  • 뇌과학(뇌의 구조), 언어학(문법), 심리학(인지), 교육학(학습 방법)
    → 모두 함께 봐야 해요!

✨ 마무리하며

우리는 단지 "성장하는 존재"가 아니라,
평생을 통해 변화하고 발전할 수 있는 존재예요.

지금 내 모습이 부족하게 느껴져도 괜찮아요.
발달은 지금 이 순간에도 진행 중이니까요.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