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정리

발달심리학에서 연구는 어떻게 할까?(1)

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은 발달심리학에서 인간의 발달을 어떻게 연구하는지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

"사람은 왜 그런 행동을 할까?"라는 궁금증을 푸는 데는 단순한 상상이나 추측이 아니라 체계적인 연구 방법이 필요하답니다.

심리학자들은 이런 연구 방법을 잘 활용해서 사람의 성장, 발달, 행동을 이해하고 설명하고 있어요!


1️⃣ 기술법 (Descriptive Research)

: 있는 그대로 관찰하고 기술하는 방법

📌 특징

  •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사람들의 행동을 관찰하거나 질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해요.
  • 조작이나 통제를 하지 않아요. 즉, 그냥 있는 그대로를 보는 게 목적이에요.

🔍 종류별 정리

1. 관찰법 (Observation)

  • 실제 생활에서 자연스러운 행동을 관찰해서 기록해요.
  • 예: 유치원에서 아이들이 노는 모습을 그대로 지켜보며 메모

장점: 자발적이고 자연스러운 행동을 볼 수 있음
단점: 상황을 기다려야 하고, 속도 조절이 안 됨

👉 자연관찰법실험실 관찰법으로 나뉘어요.

  • 자연관찰: 있는 그대로 관찰 (공원, 집 등)
  • 실험실 관찰: 환경을 살짝 통제한 곳에서 관찰 (정확한 장비 사용 가능)

2. 질문지법 (Questionnaire)

  • 설문지를 만들어서 참가자에게 직접 응답하게 해요.
    예: “하루에 스마트폰을 몇 시간 쓰나요?” 같은 질문

장점: 빠르게 많은 사람에게 자료 수집 가능
단점: 사람들이 거짓말하거나 대충 쓸 수 있음


3. 면접법 (Interview)

  • 직접 만나서 대화를 통해 자료를 얻는 방법
    예: “학교생활에서 스트레스를 어떻게 느끼나요?”라고 질문

장점: 깊이 있는 대화 가능
단점: 시간, 돈 많이 들고, 면접자의 태도가 영향을 줄 수 있음


4. 사례 연구법 (Case Study)

  • 한 사람이나 작은 집단을 깊이 있게 오랫동안 연구해요.
    예: 특수한 학습장애가 있는 아이를 몇 년간 추적 관찰

장점: 복잡한 심리적 과정까지 분석 가능
단점: 다른 사람에게 똑같이 적용하기 어려움 (일반화가 힘듦)


5. 민속지학 (Ethnography)

  • 한 문화나 집단의 생활을 깊이 있게 연구해요.
    예: 한 부족의 양육 방식이나 전통 관찰하기

장점: 다른 문화 이해, 편견 줄이기
단점: 연구자도 무의식적으로 편견을 가질 수 있음


2️⃣ 상관법 (Correlational Research)

: 두 가지 이상의 변수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보는 방법

📌 예시

  •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수면 시간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 상관의 종류

  • 정적 상관: 둘 다 같이 올라감 (공부 시간 ↑ → 성적 ↑)
  • 부적 상관: 하나는 올라가고, 하나는 내려감 (스트레스 ↑ → 집중력 ↓)

📊 상관계수 (r)

  • -1 ~ +1 사이의 값
  • 절대값이 1에 가까울수록 강한 관계, 0이면 관계없음

장점: 직접 실험하지 않아도 관계를 알아낼 수 있어요
단점: 인과관계는 알 수 없음!
(예: 공부 많이 하면 성적이 오른다 → OK
하지만 “성적이 오르면 공부를 많이 했다”는 인과는 아님)


3️⃣ 실험법 (Experimental Research)

: 인과관계(원인과 결과)를 알아보는 가장 강력한 방법!

📌 실험의 구성

  • 독립변수 (IV): 원인에 해당하는 변수 (예: 폭력물 시청 여부)
  • 종속변수 (DV): 결과에 해당하는 변수 (예: 아이의 공격성)

👥 집단 구성

  • 실험집단: 독립변수에 노출되는 그룹
  • 통제집단: 아무 조작도 하지 않는 비교 그룹

→ 두 집단의 결과 차이를 보면 무엇이 영향을 줬는지 알 수 있어요!

🎲 무선할당 (Random Assignment)

  • 참가자를 실험집단/통제집단에 우연하게 배정해서 공정성을 확보해요.
    (예: 성별, 나이 등 외부 요소가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4️⃣ 연구 방법 정리표 (한눈에 보기)

방법특징장점단점
기술법 있는 그대로 관찰, 조사 자연스러움 인과관계 알기 어려움
상관법 변수 간 관계 파악 예측 가능 원인 알 수 없음
실험법 원인-결과 파악 과학적 정확성 인위적 환경 가능성

✨ 마무리하며

심리학에서 사람을 연구할 땐, 그냥 추측하거나 감에 의존하지 않아요.
다양한 연구 방법을 사용해, 보다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결론을 내리기 위해 노력한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중에서도 기술법, 상관법, 실험법이라는 세 가지 큰 틀을 중심으로 정리했어요.
다음번에는 이 방법들을 활용한 실제 연구 사례들도 함께 살펴보면 좋겠죠?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