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발달심리학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인간의 변화를 어떻게 연구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윤리적 원칙은 무엇인지 알아볼 거예요.
사람의 발달은 하루아침에 일어나지 않죠?
그래서 시간을 고려한 연구 설계가 아주 중요하답니다.
함께 하나씩 살펴볼까요?
🧪 1. 발달연구의 설계
시간은 발달연구에서 핵심!
사람은 시간이 지날수록 변해요.
그래서 어떤 시점에, 어떤 연령대를, 얼마나 오랫동안 연구하느냐에 따라 연구 방법도 달라져요.
① 횡단법 (Cross-sectional Study)
: 여러 나이대를 한 번에 조사하는 방법
예시
10대부터 70대까지 사람들을 한 날 불러서 인지력 검사를 해요.
📌 장점
- 다양한 연령대를 동시에 비교 가능
-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들어요 (짧은 기간에 끝나니까!)
📌 단점
- 한 사람의 변화는 알 수 없어요 (누가 어떻게 변했는지는 모름)
- 동시집단 효과라는 문제가 생겨요
- 예: 20대와 60대의 학습 능력 차이가 연령 때문일까?
아니면 시대에 따라 받은 교육의 차이 때문일까?
② 종단법 (Longitudinal Study)
: 같은 사람을 오래도록 추적하는 방법
예시
10대 그룹을 지금 측정하고, 10년 후, 20년 후에도 계속 같은 검사를 해요.
📌 장점
- 개인의 발달 변화를 추적할 수 있어요
- 실제로 사람이 나이 들면서 어떻게 변하는지 확인 가능
📌 단점
- 오래 걸리고 돈도 많이 들어요
- 참가자가 중간에 탈락할 수도 있어요 (이사, 사망, 흥미 잃음 등)
- 반복 검사로 연습효과 생길 수 있어요
- 자꾸 같은 문제 풀다 보면 잘 푸는 건지, 진짜 능력이 좋아진 건지 헷갈림
③ 계열법 (Sequential Study)
: 횡단법 + 종단법을 합친 방법
예시
10대, 20대, 30대 그룹을 동시에 연구하면서, 몇 년 동안 계속 관찰
📌 장점
- 출생연도에 따른 차이(동시집단 효과)도 비교하고
- 나이에 따른 변화도 같이 볼 수 있어요!
📌 단점
- 정말 복잡하고 시간 많이 걸려요
- 참가자도 많이 필요하고, 분석도 까다롭습니다
그래서 연구자 입장에서는 제일 ‘힘든’ 방법이에요 😅
🛡️ 2. 발달연구의 윤리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반드시 윤리적으로 진행되어야 해요.
왜냐하면 사람의 마음과 삶을 다루는 민감한 영역이기 때문이죠.
발달심리학에서 꼭 지켜야 할 윤리 원칙 4가지
1. 해를 받지 않을 권리
- 연구 때문에 신체적·정신적 피해를 입어선 안 돼요
-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에게는 더 신중해야 해요
2. 연구참여 동의
- 실험 전에 충분히 설명하고, 자발적인 동의를 받아야 해요
- 아동의 경우 부모나 보호자의 동의도 필요해요
3. 속임수의 사용
-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사람을 속이면 안 돼요
- 불가피하게 사용했다면 사후에 꼭 설명해줘야 해요 (debriefing)
4. 사생활 보호
- 참여자의 개인 정보와 응답 내용은 비밀로 지켜야 해요
- 공개할 땐 익명으로 처리해야 해요
🔁 전체 요약표
연구 방법조사 방식장점단점
횡단법 | 여러 연령층을 한 번에 조사 | 시간·비용 절약 | 개인 변화 알 수 없음, 동시집단 효과 |
종단법 | 한 사람을 오랫동안 추적 | 발달의 실제 변화 추적 가능 | 시간, 비용 부담, 탈락 위험 |
계열법 | 여러 연령층을 장기간 추적 | 연령과 출생연도 효과 둘 다 분석 가능 | 매우 복잡, 많은 자원 필요 |
🧩 마무리하며
발달심리학은 사람의 변화를 다루기 때문에 시간과 윤리를 무척 중요하게 생각해요.
오늘 배운 연구설계 방법들은 모두 장단점이 있어서, 상황에 맞게 선택해서 사용해야 해요.
그리고 아무리 훌륭한 연구도 사람을 해치거나 속이면 안 되겠죠?
그래서 윤리적 원칙은 꼭 지켜야 한답니다.
728x90
'심리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존치료, 그게 뭐야? 실존치료의 이론적 배경 쉽게 알아보기 (0) | 2025.05.02 |
---|---|
게임으로 ADHD 치료하는 혁신적인 방법:EndeavorRx (0) | 2025.04.30 |
발달심리학에서 연구는 어떻게 할까?(1) (0) | 2025.04.30 |
발달심리학에서 과학적 연구는 어떻게 이루어질까? (0) | 2025.04.30 |
인간 발달을 이해하는 또 다른 시선 : 인본주의적, 동물행동학적, 생태학적 관점 (0) | 202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