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조금 낯설지만, 우리 삶과 아주 깊은 관련이 있는 심리치료, 바로 실존치료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해요.
1. 실존치료란 무엇인가요?
실존치료는 ‘인간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나는 누구인가?’ 같은 아주 근본적인 질문에서 시작해요.
이 치료는 마음의 병을 단순히 고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진짜 누구인지, 무엇이 중요한지, 어떻게 살아야 할지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탐색하는 과정이에요.
👤 실존치료를 만든 주요 심리학자들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사람들이 실존치료를 발전시켰어요. 대표적인 인물들을 소개할게요:
빈스방거 | 환자의 삶 전체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며 치료하려 했어요. |
보스 | 철학자 하이데거의 생각을 심리치료에 적용했어요. |
롤로 메이 | 유럽의 실존철학을 미국 심리치료와 연결했어요. |
얄롬 | 실존치료를 이론적으로 정리하고, 네 가지 실존 조건을 제시했어요. |
프랭클 | 의미를 찾아내는 것이 치료의 핵심이라고 믿었고, ‘의미치료’를 만들었어요. |
💡 실존치료의 핵심 생각
실존치료는 딱 정해진 방법이나 매뉴얼이 없어요.
왜냐하면 모든 인간은 다 다르고, 삶도 복잡하니까요.
이 치료는 '기술'보다는 치료자와 내담자의 인간적인 만남을 중요하게 생각해요.
또한, 내담자가 말하는 문제보다 그 사람이 지금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지에 집중해요.
예를 들어 “학교 가기 싫어요”라는 말 뒤에 어떤 감정이 있는지 함께 살펴보는 거예요.
혹시 외로움, 두려움, 무기력함이 숨어 있을지도 모르죠.
🌀 실존치료가 어려운 이유?
많은 사람이 실존치료를 처음 접하면 이렇게 말해요:
“뭐가 뭔지 모르겠어요. 어떻게 치료하라는 거죠?”
맞아요. 그럴 수 있어요. 왜냐하면:
- 딱 한 사람이 만든 게 아니라 다양한 철학자들의 생각을 바탕으로 했고
- 철학 자체가 어렵고 해석이 다양하며
- 인간을 매뉴얼처럼 다룰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실존치료는 하나의 ‘치료 기법’보다는 삶을 대하는 태도라고 보는 게 더 정확해요.
🧍♀️ 실존치료가 보는 인간이란?
실존치료는 인간을 단순히 문제 있는 존재로 보지 않아요.
오히려 인간은 이런 존재라고 생각해요:
- 스스로를 돌아볼 수 있는 존재 – “나는 왜 이렇게 느낄까?” 생각할 수 있어요.
- 항상 변하고 성장하는 존재 – 매일 조금씩 변화하고 있어요.
- 선택하고 책임지는 존재 – 우리는 늘 선택하고, 그 결과를 감당해요.
- 불안을 느끼는 존재 – 중요한 것을 마주할 때 불안을 느껴요.
- 의미를 찾는 존재 – “나는 왜 사는 걸까?” 질문하고 답을 찾아가요.
🔥 실존치료에서 말하는 4가지 중요한 주제
실존치료에서는 인간이 누구나 마주하게 되는 네 가지 ‘실존적 조건’을 중요하게 생각해요.
이건 우리 삶에 깊은 영향을 미치는 주제들이에요.
1. 죽음
- 누구나 언젠가는 죽는다는 사실은 피할 수 없죠.
- 이걸 마주하는 건 무섭지만, 오히려 더 진지하게 살아가게 도와줄 수 있어요.
2. 자유와 책임
- 우리는 늘 선택해야 해요.
- 그리고 그 선택에 대한 책임도 우리가 져야 하죠.
- “내가 공부를 안 한 건 내 선택이었다”는 식으로요.
3. 고독
- 친구가 있어도, 결국 내 마음속 깊은 부분은 나만 느낄 수 있어요.
- 그 외로움을 외면하면 마음이 더 힘들어질 수 있어요.
4. 무의미
- 세상에 확실한 진리는 없을지도 몰라요.
- 그래서 내 삶의 의미는 내가 만들어야 해요.
🌱 실존치료는 이런 사람에게 도움이 돼요
- 삶이 무의미하게 느껴지는 사람
- 불안, 외로움, 고립감 등을 자주 느끼는 사람
- 자신의 삶을 스스로 선택하고 살아가고 싶은 사람
- 단순한 증상보다 삶 전반을 돌아보고 싶은 사람
📝 마무리하며…
실존치료는 우리에게 이렇게 말해요.
“너는 너의 삶을 선택할 수 있어.
지금 이 순간의 너의 감정과 생각을 존중해.
그리고 너만의 삶의 의미를 찾아봐.”
조금 어려운 개념일 수 있지만, 실존치료는 우리 모두에게 중요한 질문을 던져줘요.
여러분도 가끔은 이런 질문을 해보면 어때요?
“나는 지금, 어떻게 살고 있지?”
'심리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작적 학습이란?(1) (0) | 2025.05.12 |
---|---|
실존치료의 주요개념 (0) | 2025.05.02 |
실존치료, 그게 뭐야? 실존치료의 이론적 배경 쉽게 알아보기 (0) | 2025.05.02 |
게임으로 ADHD 치료하는 혁신적인 방법:EndeavorRx (0) | 2025.04.30 |
발달심리학에서는 어떻게 연구할까?(2) (0) | 2025.04.30 |